도파민과잉에 의해 뇌가 막대한 타격을 입게되면 브레인포그를 발생시키며, 이는 뇌 안개(Brain fog)를 발생시킵니다. 이에 대한 과학적기전과 해결책을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
도파민의 정의와 특징
-
중독의 과학적 기전
도파민의 정의와 특징
본래 인간은 즐거운 것을 추구합니다. 자연적 도파민분비는 이성과의 만남, 듣고 싶은 음악, 아침, 점심, 저녁을 먹는것, 좋은 집을 사는 것, 좋은 차를 타는 것 등이 있습니다. 인위적인 즐거움은 술, 담배, 음란물, 도박, 게임, 유튜브, 마약이 있습니다. 그리고 일상이 힘들고 지칠 때 우리는 인생의 ‘재미’를 위한 ‘갈망’을 추구합니다. 그리고 사회적으로 금기된 행위에 대해 ‘충동’을 느끼기도 합니다.
도파민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갈망’입니다. 우리는 어떠한 호기심이 있는 대상을 보았을 때 그것이 우리에게 즐거움을 줄 것이라는 기대를 하게 됩니다. 어린시절 음란물을 처음 접했을 때 우리는 성관계가 우리에게 ‘짜릿함’을 선사할 것이라고 기대를 합니다. 그러한 기대는 이성에게 판타지( Fantasy)를 가지게 합니다.
둘째. ‘즐거움에 대한 기대와 고통회피’입니다. 투쟁-도피반응이란 말이 있듯이 많은 사람들이 학업, 직업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이 사이에 상당한 고통과 지루함을 느낍니다. 물론 극소수의 예외도 존재하긴 합니다만. 이러한 고통을 회피하기 위해 빨리 일과가 끝나길 바랍니다. 일이 끝나면 술, 담배, 여자가 우리에게 기대를 가지게 합니다.
셋째. ‘중독성’이 있다는 것입니다. 즐거움의 역치는 끝이 없습니다. 술, 담배, 마약, 음란물은 처음에 접하였을 때 가볍게 시작하였습니다. 그러나 약물에 노출될수록 똑같은 자극에 둔감해지며, 더 큰 자극을 느끼기 ‘강도’나 ‘양’을 늘립니다.
넷째. ‘미지에 대한 충동’입니다. 인간은 새로운 것에 대해 경험하는 것을 좋아합니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는 것, 내 여자가 아닌 다른 여자를 만나는 것, 여행에 대한 기대등이 그것입니다. 도파민은 새로운 자극에 대해 갈망합니다. 특히 우리 관습과 통념에 반하는 금기된 행동을 하는 것도 이와 마찬가지입니다. 새로운 것을 시도하면서 불안과 스릴 그 사이에서 쾌감을 느낍니다.
다섯째, 도파민은 ‘양날의 검’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쾌락을 느끼면 필연적으로 고통을 느끼게 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처음에는 쾌락을 느끼기 위해 약물을 하지만 어느 순간 약물이 없으면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중독의 과학적 기전
인간의 뇌에는 수많은 뉴런이 있습니다. 그리고 뇌의 정보는 뉴런과 뉴런사이에 경로를 통해 이동하며 전달합니다.
위 사진은 도파민 호르몬이 뉴런과 뉴런사이를 이동하는 과정을 나타낸 그림입니다. 이 과정을 거쳐 아래의 경로를 타고 전전두엽피질과 편도체에 전달하게 됩니다.
도파민은 복측피개부에서 분비되어 시상하부를 타고 전달이 됩니다. 그리고 이는 감정을 조절하는 편도체와 고등인지능력을 담당하는 전전두엽피질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그리고 도파민의 과잉분비는 편도체와 전전두엽피질이 약화에 영향을 줍니다. 이는 인지능력의 둔화, 그리고 감정기복의 심화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죠.
신경은 같은 자극을 계속해서 강화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사람이 다니는 곳이 곧 길이 되는 것처럼 신경도 활성화된 곳이 계속해서 강화됩니다. 사진을 보시면 도파민이 분비되면 분비될수록 그 경로는 곧 강화됩니다.
이는 도파민 민감도를 높입니다. 예를들면 담배를 안피는 사람은 담배를 봐도 아무런 느낌이 없습니다. 반면에 담배를 폈던 사람은 담배를 보면 갈망을 느끼게 됩니다. 이는 작은 자극에도 크게 반응한다는 것과 같습니다.
우리 몸은 정상상태를 유지하려는 특성이 있습니다. 예를들어 날씨가 더울때 땀구멍을 확장하여 열을 배출하여 체온을 정상화하려고 합니다. 반면 날씨가 추울때 땀구멍을 닫아 체온을 보존하려는 성향이 있습니다. 이는 두뇌는 몸을 36.5도로 유지하려는 경향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쾌락을 느낄 때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예를들어 담배를 처음 접하는 사람이 한명이 있습니다. 그 사람이 담배 1개비를 피우면 몸이 이완되어 좋은 기분을 느낍니다. 반면 두뇌는 다시 이를 정상으로 되돌리려고 합니다. 담배로 인해 조금이나마 파괴된 몸을 정상으로 회복하려고 하기 때문이죠.
여러분은 두뇌의 학습기능이 있다는 것을 알것입니다. 예전에는 담배를 피우면 담배를 핀 이후에 뇌가 반응을 합니다. 그러나 계속된 니코틴에 반응하면 뇌는 학습을 하여 미리 반응을 합니다. 이는 두뇌가 담배를 피기전에 학습을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는 처음에 느꼈던 담배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원인이 됩니다.
인간은 다시 처음과 같은 짜릿함을 느끼고 싶어합니다. 담배 한개로 예전만큼의 효과가 없으니 다시 흡연량을 2개로 늘립니다. 그리고 좋은 기분을 느끼려고 합니다.
반복적으로 뇌는 이에 적응하고 학습합니다. 그리고 담배를 2개를 핀만큼 다시 정상상태로 되돌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이러한 사이클은 반복됩니다. 이는 담배를 2개를 피우던 것이 4개로 늘어나고 8개, 한갑으로 늘어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는 내성이 생기게 합니다. 담배를 피면 필수록 뇌는 그만큼 정상상태로 되돌리려고 노력을 합니다. 그리고 금단증상을 겪게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이 고통을 막기 위해 다시 담배를 피는 것입니다.
평범한 사람은 일상에서 작고 소소한 에피소드(episode)에 기쁨을 느낍니다. 반면 중독자는 일상의 작고 소소한 일상에서 아무런 감흥을 느끼지 못합니다. 이는 중독에 빠지면 빠질수록 좋은 기분을 느끼는 기준선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마약을 하면 왜 맛있는 음식에 대해 맛을 느끼지 못할까요? 그 이유는 음식이 주는 즐거움에 비해 마약에 의한 쾌락수준이 높기 때문입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마약이 주는 쾌락의 느낌은 아주 높은데 비해 음식이 주는 즐거움은 상대적으로 낮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이언맨(IRON MAN)의 주인공 역할을 맡은 로버트 존 다우니 주니어(Robert John Downey Jr.)는 마약중독자였습니다. 그는 아이언맨을 찍기 전 마약중독자시절 어느날 햄버거집을 가서 자신이 좋아하는 치츠햄버거를 먹는데 아무맛도 느끼지 못하였다고 합니다. 그 원인이 마약이라는 것을 알고 과감하게 중독치료를 받고 지금의 토니스타크가 될 수 있었습니다.
토니스타크는 기자회견장에서 치즈버거를 먹는 장면이 나옵니다. 이는 로버트다우니주니어가 마약을 끊게 해준 햄버거집에 대한 고마움을 표시하기 위해 영화에 한 장면으로 삽입했다고 하네요.
위의 예시와 같이 우리는 중독이 우리가 소소한 일상의 기쁨을 앗아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얀도화지처럼 맑은 어린시절 산에 올라갔을 때를 회상해봅니다. 솔잎냄새, 흙냄새, 잔잔한 바람, 빗소리, 지저귀는 새소리등에 좋은 기분을 느끼게 됩니다. 하지만 중독에 빠지면 이러한 작은 일상에서 아무것도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것입니다. 대신에 불안과 초조함, 우울감이 증가하게 되는 것입니다.
마음의 3원색- 도파민, 새로토닌, 노르아드레..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글 편집 “도파민에 의해 절여진 뇌, 뇌안개(Brain fog)(2)” ‹ 브레인포그 — 워드프레스 (jjanggyu.co.kr)